분류 전체보기14 이집트와 그리스 조각의 차이 이집트와 그리스 조각의 차이: 고정된 질서와 살아 있는 미학이집트 조각의 특징: 변화를 거부한 양식이집트의 조각을 보면 웅장하고 장엄하지만, 마치 살아 있는 사람을 보는 듯한 생생함은 느껴지지 않습니다. 이는 제작적 비례, 즉 작적 비례에서 비롯된 양식화의 경향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장인들은 인간을 눈앞에서 관찰하기보다는 수학적 도식에 맞추어 몸을 나누고 비율을 재현했습니다.이러한 태도는 영원한 세계를 지향한 이집트의 종교관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이집트인에게 예술은 ‘변하지 않는 것’을 기록하는 수단이었기 때문에 조각은 항상 정면을 응시하거나 엄격히 대칭된 모습으로 표현되었습니다. 그 결과, 작품은 장엄함을 주지만 현실의 생동감은 희생될 수밖에 없었습니다.카논의 의미와 한계이집트와 그리스 모두 인체의 비.. 2025. 9. 25. 고대 이집트 예술과 비례론 고대 이집트 예술과 비례론: 변하지 않는 영원의 미학예술의 역사를 살펴보면 시대마다 서로 다른 ‘아름다움의 기준’이 있었습니다. 르네상스 시기에는 자연을 있는 그대로 재현하는 사실적 묘사가 예술의 이상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인간의 눈으로 보는 현실 세계와 거의 흡사한 이미지를 구현하는 것이 최고의 가치로 여겨졌던 것이죠. 그러나 예술의 역사는 단순히 “그리지 못해서”가 아니라 “그리지 않기로 선택해서” 만들어진 흐름도 있습니다. 바로 예술이 지향하는 의지와 세계관이 다르기 때문입니다.독일의 미술사가 파노프스키는 이러한 예술적 태도를 ‘비례론’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했습니다. 비 비례론은 '예술적 묘사의 대상이 되는 한에서 살아 있는 생물, 특히 인간 신체의 비례관계에 관한 이론'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비례는.. 2025. 9. 24.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