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T/서양건축사

르네상스 건축

by artzip603 2025. 9. 26.

인간 중심의 예술, 르네상스 건축의 세계

서양 건축사에서 르네상스 건축은 단순한 양식적 변화가 아니라, 인간 중심의 새로운 세계관이 건축을 통해 드러난 역사적 사건이었습니다. 15세기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시작된 르네상스는 고대 그리스·로마의 건축 원리를 재발견하고, 이를 당대의 철학과 과학, 그리고 인간 중심적 사고에 맞게 재해석했습니다. 이는 “신을 향한 건축”에서 “인간을 위한 건축”으로의 커다란 전환을 의미하며, 이후 수 세기에 걸쳐 서양 건축사의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르네상스 건축의 역사적 배경

중세 고딕 건축은 하늘을 향해 솟아오르는 첨탑과 스테인드글라스를 통해 신앙심을 고양했지만, 시간이 지나며 과도한 장식성과 비례의 왜곡에 대한 비판이 나타났습니다. 동시에 14세기 이후 유럽에서 인문주의(Humanism)가 확산되면서 인간의 이성과 합리를 강조하는 사상이 퍼져 나갔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고대 로마 건축가 비트루비우스의 저서 『건축 10서』(De Architectura)가 재발견되었습니다. 르네상스 건축가들은 이 책을 바탕으로 건축을 과학적 비례, 수학적 질서, 미학적 조화를 통해 이해하고자 했습니다. 특히 인간 신체의 비례가 건축 비례의 기준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유명한 ‘비트루비우스적 인간’ 그림에서도 잘 드러납니다.(*서양미술사 비례론 포스팅 참고!)

https://artzip603.tistory.com/3

르네상스 건축의 핵심 특징

  1. 조화와 비례
    르네상스 건축은 고대의 이상을 되살려 대칭, 비례, 조화를 중시했습니다. 건물의 평면은 종종 원형이나 정사각형 같은 완전한 기하학 도형을 기반으로 설계되었고, 이는 ‘우주의 질서’를 반영합니다.
  2. 고전적 양식의 부활
    도리아, 이오니아, 코린트식 기둥이 체계적으로 활용되었으며, 고딕의 첨두아치 대신 반원형 아치와 돔이 다시 등장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구조적 안정성과 미적 이상을 동시에 충족시켰습니다.
  3. 파사드의 질서
    성당이나 궁전의 정면은 좌우 대칭을 이루고, 층위가 뚜렷하게 구분되며, 기둥과 벽면이 조화롭게 배치되었습니다. 이러한 질서는 도시 공간 전체에 영향을 미쳐 광장과 거리의 형태에도 반영되었습니다.
  4. 돔의 부활과 발전
    돔은 로마 판테온 이후 거의 사라졌다가 르네상스에서 다시 등장했습니다. 특히 피렌체 두오모의 거대한 돔은 당시 기술적 한계를 넘어선 상징적 성취였습니다.

르네상스 대표 건축가와 작품

브루넬레스키(1377~1446)

르네상스 건축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그는 피렌체 대성당(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의 돔을 완성하며 건축사의 흐름을 바꾸었습니다. 기존 중세 기술로는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직경 42m의 돔을 이중 구조와 독창적 공법을 통해 실현시켰습니다. 이 돔은 르네상스 건축의 상징이자, 기술과 예술이 결합한 걸작으로 남았습니다.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1404~1472)

건축가이자 이론가였던 그는 『건축론』을 통해 르네상스 건축의 이론적 기초를 다졌습니다. 피렌체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 파사드는 그가 설계한 대표작으로, 고대적 비례와 르네상스적 조화를 동시에 보여줍니다.

브라만테(1444~1514)

로마에서 활동하며 르네상스를 확산시킨 그는 성 베드로 대성당 신축 계획을 주도했습니다. 그의 설계는 중앙집중식 평면을 통해 신성한 질서를 구현하려 했으며, 이후 미켈란젤로에게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미켈란젤로(1475~1564)

조각과 회화뿐 아니라 건축에서도 위대한 업적을 남긴 그는 성 베드로 대성당의 돔을 설계하여 르네상스 건축의 절정을 완성했습니다. 그의 돔은 로마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으며, 이후 바로크 건축에도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사회적·문화적 의미

르네상스 건축은 신 중심의 세계관에서 인간 중심의 세계관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건축적으로 드러냈습니다. 성당뿐 아니라 궁전, 도서관, 병원, 시청사 등 다양한 공공 건물이 건설되며, 건축은 인간의 삶을 품는 공간으로 변모했습니다. 이는 도시 전체의 구조와 질서를 재편성하는 계기가 되었고, 건축은 단순히 신앙의 도구가 아니라 시민 사회와 문화적 이상을 표현하는 매개체가 되었습니다.

또한 르네상스 건축은 미술, 음악, 철학 등 다른 예술 분야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미켈란젤로나 라파엘로 같은 예술가들이 건축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건축은 회화와 조각을 아우르는 ‘총체적 예술’로 발전했습니다.

르네상스 건축의 확산과 지역적 변용

이탈리아에서 출발한 르네상스 건축은 곧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습니다.

  • 프랑스: 고딕 전통과 결합해 화려한 궁정 건축이 발전했다. ex. 루아르 강가의 셰농소 성이나 블루아 성
  • 스페인: 르네상스 양식은 현지 장식성과 결합해 플라테레스코(Plateresco)라 불리는 독창적 양식으로 발전했습니다.
  • 영국: 튜더 양식과 융합되면서 독특한 르네상스 건축이 등장했고, 이는 후에 엘리자베스 시대 건축으로 이어졌습니다.
  • 독일과 네덜란드: 시민 중심의 도시 건축과 공공 건물에 르네상스 양식이 적용되었으며, 점차 신고전주의로 발전하는 토대가 되었습니다.

르네상스 건축의 의의와 유산

르네상스 건축은 인간 이성의 힘을 강조하며 고대의 아름다움을 새롭게 해석한 시도였습니다. 이 양식은 단순히 과거의 재현이 아니라, 고대를 현대적으로 변용한 창조적 작업이었습니다. 이후 바로크 건축은 르네상스의 원리를 바탕으로 더 역동적이고 장식적인 양식을 발전시켰고, 18세기 신고전주의 역시 르네상스의 합리적 질서를 다시금 계승했습니다.

더 나아가 20세기 근대 건축에서도 르네상스적 합리성과 기능적 비례 개념은 여전히 중요한 이론적 기반이 되었습니다. 오늘날에도 르네상스 건축은 ‘인간을 위한 공간’이란 이상을 상기시키며, 도시와 건축 설계에서 여전히 영감을 제공합니다.

'ART > 서양건축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딕 건축  (0) 2025.09.26
고대 이집트와 그리스 건축  (0) 2025.09.26